목포항을 드나드는 배들의 길라잡이 목포구등대는 대한제국 말기인 1908년 1월 청일전쟁에 이어 러일전쟁까지 승리한 일본제국주의의 본격적인 대륙진출을 위한 기반시설 확충사업의 일환으로 당시 세관공사부 등대국에서 관세수입으로 설치되었습니다. 목포구등대는 1897년 10월 개항한 목포항의 관문에 설치되어 화원반도와 달리도의 협수로(폭600m)를 안전하게 통항할 수 있도록 등대 불을 밝히고 있습니다. 건립당시 무인등대(높이 7.2m, 백원형콘크리트조)로 설치되었으나 1964년 12월 등대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등대원이 근무하는 유인등대로 변경하였으며, 2003년 12월에 현재의 모습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목포구등대는 등탑 36.5m(기초상) 높이로 힘차게 항진하는 선박을 형상화하여 목포항을 입,출항하는 많은 선박들과 여객선을 이용하는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징목포구 등대는 우리나의 서남해상 목포, 진도권에 위치한 6개 유인 등대(당사도, 가사도, 하조도, 홍도, 소흑산도, 목포구) 중 배를 타지 않고 차량으로 탐방할 수 있는 유일한 등대입니다. 구등탑은 2008년 7월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제37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최초점등일 : 1908-01-01 구조 : 백색원형 철근콘크리트(36.5m) 등질 : 섬백광 5초 1섬광(FIW5s)